육아일기 2

이중국적(미국,한국) 아기 한국에서 출생신고하기 및 여권 만들기

첫째 때는 미국 대사관에 먼저 출생신고 후 한국 동사무소 가서 출생신고를 했고,둘째 때는 한국 주민센터 가서 출생신고 후 미국 대사관에 출생신고를 했답니다. 어느 쪽을 먼저 해도 상관은 없지만 한국 주민센터에 가서 ​먼저 한 경우 번거로운 점이 한 가지 있었는데요!  첫째 때는 미국 출생등록증과 여권이 나온 이후, 동사무소에 미국여권을 들고 가서 출생신고를 했기 때문에 이중국적 등록도 같이 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둘째 때는 출생신고 이후, 한국에 이중국적을 등록하기 위해 미국 여권 발급 후 주민센터에 다시 가서 이중 국적을 등록해야만 했답니다.  그래서 저는 미국 대사관에 먼저 하는 것을 추천 드리지만! 어느쪽을 먼저하든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점 알려드려요!  미국 대사관 출생신고 * 구비서류 출생신고..

육아일기 2025.02.06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부부의 한국출산 vs 미국출산

미국 시민권인 남편, 한국국적이자 미국 영주권을 가지고 있는 저는 2020년과 2022년 첫째와 둘째를 모두 한국에서 출산했어요. 한국에서 출산한 이유는 한국에 친정도 있고, 조리원 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산후조리가 편하기 때문!이었어요. 이렇게 한국에서 출산했다고 하면 다들 물어보시는 질문이 "그럼 아기의 국적은 어떻게 되나요?"인데요, 답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저희의 두 아기는 한국과 미국 '이중국적'입니다.  저희의 경우 대사관에 명시되어 있는 아래 조건에 해당하여 한국 출산을 결정할 수 있었어요 만약 부모 중 한 명만 미국 시민권자인 경우, 미국 시민권자 부모가 아기 출생 전에 미국에서 5년 거주한 (14세 이후 2년을 포함) 증명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출산 후 미국 대사관에서 진행한 출생신..

육아일기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