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

이중국적(미국,한국) 아기 한국에서 출생신고하기 및 여권 만들기

첫째 때는 미국 대사관에 먼저 출생신고 후 한국 동사무소 가서 출생신고를 했고,둘째 때는 한국 주민센터 가서 출생신고 후 미국 대사관에 출생신고를 했답니다. 어느 쪽을 먼저 해도 상관은 없지만 한국 주민센터에 가서 ​먼저 한 경우 번거로운 점이 한 가지 있었는데요!  첫째 때는 미국 출생등록증과 여권이 나온 이후, 동사무소에 미국여권을 들고 가서 출생신고를 했기 때문에 이중국적 등록도 같이 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둘째 때는 출생신고 이후, 한국에 이중국적을 등록하기 위해 미국 여권 발급 후 주민센터에 다시 가서 이중 국적을 등록해야만 했답니다.  그래서 저는 미국 대사관에 먼저 하는 것을 추천 드리지만! 어느쪽을 먼저하든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점 알려드려요!  미국 대사관 출생신고 * 구비서류 출생신고..

육아일기 2025.02.06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부부의 한국출산 vs 미국출산

미국 시민권인 남편, 한국국적이자 미국 영주권을 가지고 있는 저는 2020년과 2022년 첫째와 둘째를 모두 한국에서 출산했어요. 한국에서 출산한 이유는 한국에 친정도 있고, 조리원 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산후조리가 편하기 때문!이었어요. 이렇게 한국에서 출산했다고 하면 다들 물어보시는 질문이 "그럼 아기의 국적은 어떻게 되나요?"인데요, 답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저희의 두 아기는 한국과 미국 '이중국적'입니다.  저희의 경우 대사관에 명시되어 있는 아래 조건에 해당하여 한국 출산을 결정할 수 있었어요 만약 부모 중 한 명만 미국 시민권자인 경우, 미국 시민권자 부모가 아기 출생 전에 미국에서 5년 거주한 (14세 이후 2년을 포함) 증명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출산 후 미국 대사관에서 진행한 출생신..

육아일기 2025.02.05

블로그 시작

2017년 2월 엘에이로 출국한 그날 서운해 하는 엄마 아빠를 뒤로하고 나는 그저 신나게 미국으로 향했던 기억이 난다. 누구 때문이었겠지 ㅎㅎ 그땐 이렇게 9년째 여기서 살고 있을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는데.. 참 인생은 한치앞도 모르는 것정신없이 연애하고, 결혼하고, 출산하고, 육아하고 그러다가 이제야 내 시간이 조금 나기 시작했다. 그래서 블로그를 한 번 시작해 보기로 결심!    언제나 첫 시작은 설렘이 가득하지만 꾸준히 잘 할 수 있을까? 항상 나를 의심하는 나다 ㅎㅎ 어쨌든 거의 30년동안의 한국살이를 마치고 미국으로 넘어와 9년째 살고 있다.미국에서 살면서 혹시라도 도움이 될까 싶은 정보들을 조금씩 기록해봐야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 되기를..!나에게도 즐거운 일상의 기록이 되기를! 화이..

이방인 기록 2025.02.05